최근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국민평형'의 기준이 변화하는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 4인 가족이 선호하던 전용 84㎡(약 34평) 대신, 전용 59㎡(약 25평) 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1~2인 가구 증가와 함께 치솟는 분양가 부담이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 소형 평형 강세
2023년 서울에서 분양된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상위 10개 타입 중 7곳이 전용 59㎡였습니다. 특히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59.17㎡)로, 일반공급 1세대를 모집하는 청약에 3,574명이 몰렸습니다. 같은 단지의 59.54㎡ 타입은 3,31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펜타스(59.80㎡) 또한 16가구 모집에 25,678명이 신청하면서 높은 인기를 보였습니다. 강남구 대치동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 영등포구 당산동4가 e편한세상당산리버파크(59㎡)도 1,784대 1의 높은 경쟁률로 마감되었습니다.
소형 아파트 청약 선호 이유
전문가들은 소형 아파트에 청약이 몰리는 이유로 1~2인 가구 증가뿐만 아니라 높아진 분양가를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e편한세상당산리버파크 전용 59㎡ 분양가는 14억 4,230만 원이었지만, 같은 단지 전용 84㎡는 약 22억 원으로 5억 원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 이에 따라 자금 부담이 적은 소형 아파트를 선택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소형이 대세
청약뿐만 아니라 기존 아파트 매매에서도 소형 아파트 거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12월 기준 서울 주택 거래량
- 전용 41㎡~60㎡: 2,155건
- 전용 61㎡~85㎡: 1,625건
한때 84㎡ 거래량이 증가한 시기도 있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전용 59㎡가 포함된 소형 아파트 거래량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상반기, 소형 아파트 분양 예정 단지
서울에서 소형 평형이 포함된 주요 분양 예정 단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4월
- 영등포구 영등포센트럴푸르지오위브
- 전용 40㎡~84㎡ 중소형 위주 공급
- 총 659가구 중 175가구 일반분양 예정
5월
- 구로구 고척힐스테이트푸르지오
- 전용 39㎡~114㎡ 중 전용 59㎡, 84㎡ 위주 공급
- 983가구 중 576가구 일반분양 예정
- 은평구 힐스테이트메디알레
- 전용 39㎡~114㎡, 총 2,083가구 중 483가구 일반분양 예정
- 송파구 잠실르엘
- 전용 45㎡, 59㎡, 74㎡ 등 중소형 위주 공급
- 총 1,910가구 중 241가구 일반분양 예정
3기 신도시 소형 공급 확대
국토교통부는 하남 교산, 고양 창릉, 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에서도 전용 60㎡ 이하 소형 평형 공급 비중을 높일 계획입니다. 특히 하남 교산 지구는 기존 51.9%였던 소형 평형 비중을 59.3%로 확대하였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소형 아파트 인기 지속
- 1~2인 가구 증가, 높은 분양가, 금리 부담으로 인해 전용 59㎡ 이하 소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최근 아파트 설계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형 평형에도 욕실 2개, 4베이 구조 등 실용적인 평면이 적용되고 있어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분양가 상승 가능성
- 6월부터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층간 소음 규제 강화, 전기차 화재 대응 시설 의무화 등으로 인해 공사비 상승이 예상됩니다.
- 이에 따라 분양가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가격 부담이 적은 소형 평형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과거 국민평형으로 불렸던 전용 84㎡ 대신, 전용 59㎡ 소형 아파트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금 부담이 적고 실용성이 높은 소형 아파트의 인기는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분양가 상승과 1~2인 가구 증가 등의 요인이 맞물리면서, 향후 소형 아파트 시장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파트 리모델링과 재건축 비교! 비용, 절차, 장단점 완벽 정리
부동산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방식으로 아파트 리모델링과 재건축이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노후된 아파트를 정비하여 건축물의 기능을 향상시키지만, 차이
realty.rudwp.com
무주택 세대주 기준, 나도 해당될까?
주택청약이나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세대주" 개념입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세대주, 세대원, 무주택 세대주, 무주택세대구성원 등의 용어를 정확히 구별
realty.rudwp.com